“석탄 붙잡다 기후 리더 놓친다”…이재명에게 건네는 앨 고어의 경고

앨 고어 전 미국 부통령이 한국 정부에 석탄발전 단계적 폐지 로드맵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기후위기 대응의 핵심은 ‘탈석탄’에 있으며, 한국이 국제사회에서 진정한 기후 리더로 자리매김하려면 결단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다.
24일 고어 전 부통령 공식 홈페이지에 따르면, 그는 지난 19일 이재명 대통령을 수신인으로, 김성환 환경부 장관을 참조로 한 서한을 게시했다.
서한에서 그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용량을 35GW에서 78GW 이상으로 확대하겠다는 계획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며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최소 60%로 설정하는 법안이 국회에 발의된 것은 에너지 전환에 대한 한국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그는 “석탄발전의 단계적 폐지는 이러한 변화의 핵심”이라며 “한국이 아시아 국가에 선도적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로드맵을 세우고, 유엔 총회에서 이를 발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 계획이 국제무대에서 선포된다면 세계 시장과 파트너, 아시아 국가들에 한국이 깨끗하고 안전하며 경쟁력 있는 에너지 미래를 준비하고 있다는 강력한 신호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고어 전 부통령은 영국, 아일랜드, 핀란드가 이미 석탄발전을 전면 중단했고, 스페인·그리스·이탈리아도 폐지를 추진 중이라고 언급했다.
실제로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유럽 주요국은 기후위기 대응과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 석탄 퇴출 일정을 앞당기고 있다.
영국은 2024년까지 석탄발전을 전면 폐지하고, 핀란드는 2029년 탈석탄을 법제화했으며, 스페인은 2030년 이전 전면 중단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독일도 기존 2038년 시한을 2030년으로 앞당기는 논의를 진행 중이다.
미국과 캐나다도 연방 또는 주 단위에서 석탄발전 중단 계획을 확정했으며, 일본은 신규 석탄발전소 억제 정책을 도입했다. 중국과 인도는 여전히 석탄 의존도가 높지만 국제 금융시장에서 석탄 투자 철회 압박이 거세지고 있다.
한국은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40% 이상 줄이겠다는 NDC를 국제사회에 제출했지만, 여전히 발전량의 25~30%를 석탄에 의존하고 있다.

최근 정부가 노후 석탄발전소의 수명 연장을 검토하거나 석탄에 목재펠릿을 섞어 태우는 ‘바이오매스 혼소’를 재생에너지 보조금 대상에 포함시키려는 움직임까지 보이면서 “탈석탄 의지가 오히려 후퇴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환경운동가들은 “재생에너지 확대와 병행되지 않는 석탄발전 연장은 결국 한국의 NDC 목표 이행 실패로 이어진다”며 “국제사회에서 신뢰를 잃게 될 위험이 크다”고 말했다.
환경단체들은 이번 서한을 계기로 한국 정부가 명확한 탈석탄 로드맵을 내놓아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2007년 노벨평화상을 수상한 앨 고어 전 부통령의 메시지는 단순한 외부 권고가 아니다. 이미 영국과 핀란드 등은 석탄 시대를 끝냈고, 유럽과 북미는 탈석탄 시계를 앞당기고 있다. 한국이 여전히 늦은 시계에 머문다면, 기후 리더십은커녕 국제사회에서의 신뢰도 지키기 어렵다.
고어 전 부통령의 서한은 한국 정부가 국제무대에서 탈석탄 의지를 분명히 밝히고, 실질적 로드맵을 마련할 마지막 기회라는 점을 일깨운다.
뉴스레터를 구독하세요
지금 뉴스레터를 구독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