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이 만든 태양광 마을, 월 20만 원 햇빛소득

경기도 곳곳에서 주민들이 직접 투자해 만든 ‘경기 RE100 마을’이 에너지 전환과 소득 창출의 모범 사례로 자리 잡고 있다. 태양광 설비를 마을 단위로 설치해 전기요금을 줄이고, 발전 수익을 나누는 ‘햇빛소득’ 모델이 현실화되고 있는 것이다.
경기도는 29일 경기융합타운에서 ‘경기 RE100 마을 이야기’ 행사를 열고 우수사례를 공유했다. 행사에는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 임창휘 도의원, 에너지협동조합, 설비업체, 주민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경기 RE100 마을’은 도시가스 미공급 등 에너지 취약 지역을 대상으로 경기도(30%), 시·군(50%), 주민(20%)이 비용을 분담해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설비를 설치하는 사업이다. 이를 통해 ▲전기료 절감 ▲마을기금 마련 ▲햇빛소득 배당 등 에너지 복지 효과를 누리고 있다.
올해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최우수상을 받은 포천 마치미 마을은 33세대가 세대당 550만 원을 투자해 연간 8천만 원의 발전수익을 올리고 있다. 주민들은 세대당 월평균 20만 원의 햇빛소득을 배당받고, 68세대는 전기요금을 사실상 ‘0원’으로 줄였다. 이 마을의 성공 비결은 이장, 협동조합, 태양광기업 대표가 의기투합한 ‘에너지 삼총사’였다.
화성 쌍송1리 마을은 경제적 여건과 관계없이 주민 모두가 참여하는 방식으로 눈길을 끌었다. 저소득 가구에는 마을기금으로 자부담 비용을 지원해 에너지 전환의 ‘소외’를 막았다. 발전수익으로는 어르신들에게 청소기, 전기밥솥을 기증했다. 한 주민은 “15만 원 나오던 전기요금이 1만~2만 원으로 줄었다”고 전했다.
평택 호정마을은 마을 가구의 80%가 주택 지붕에 태양광을 설치했다. 사유지 옥상을 빌려 공동발전소를 세운 뒤 수익을 모아 마을회관 건축비로 적립하고 있다. 한 주민은 “지난해 7월부터 전기요금이 0원이 됐다. 이제 누진요금 걱정이 없다”고 말했다.
이천 은골마을은 초기 반대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대화 끝에 주민 합의를 이끌어냈다. 유휴부지에 설치한 발전소는 농림축산식품부 ‘농업·농촌 RE100 실증지원’ 사업에도 선정됐다. 은골마을은 지난 3월 주민 1인당 연 220만 원을 배당했고, 수익 일부를 마을기금으로 적립해 복지와 공동체 활동에 활용하고 있다.
안성 소동산마을은 불법 쓰레기 투기장이던 도로 법면을 태양광 발전소로 바꿨다. 발전수익의 8%는 마을발전기금으로 적립된다. 이 마을 이장은 “쓰레기장이 깔끔한 발전소로 변하고, 1인당 월 20만 원의 햇빛소득까지 들어온다. 이런 수익은 어디서도 얻기 어렵다”고 말했다.
경기도는 지난 10년간 총 473곳(46MW 규모)의 경기 RE100 마을을 조성했다. 주민들은 전기요금을 월평균 7만 원 절감하거나, 세대당 월 15만 원 이상 햇빛소득을 20년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있다.
고영인 경제부지사는 “에너지 자립과 소득을 동시에 얻는 경기 RE100 마을이 이미 473곳까지 확대됐다”며 “앞으로 도 전역으로 확산해 RE100 실천을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뉴스레터를 구독하세요
지금 뉴스레터를 구독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