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og in
  • 구독하기
지구를 살리는 뉴스, 더지구가 기후위기의 진실을 알려드립니다

한·중·몽, 동북아 사막화 방지 위해 공동 대응 나섰다

오두환 기자
오두환 기자
- [object Promise]분 걸림 -
지난달 24일부터 25일까지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열린 동북아사막화방지 협의체 국제포럼 및 운영위원회가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산림청]

산림청이 지난달 24~25일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열린 ‘동북아사막화방지 협의체(DLDD-NEAN)’ 국제포럼과 운영위원회에서 한국, 중국, 몽골, 러시아와 유엔사막화방지협약(UNCCD), 동북아환경협력계획(NEASPEC) 등 국제기구 관계자들이 참석해 사막화와 토지 황폐화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포럼은 ‘토지와 자연 재난’을 주제로 열려 각국 정부의 산림재난 대응 정책과 연구 사례가 공유됐다. 우리나라는 산불 등 국내 산림재난 대응 현황을 소개하는 한편, 유엔식량농업기구(FAO)와 아시아산림협력기구(AFoCO) 등을 통한 국제 산림재난 관리 협력 사례를 발표했다.

25일 열린 운영위원회에서는 동북아 지역의 사막화 발원지를 공동으로 파악하기 위한 지도 작성 시범사업에 합의하고, 공동 연구 계획을 협의했다.

동북아사막화방지 협의체는 한국·중국·몽골 3개국이 2011년 유엔사막화방지협약 당사국총회에서 출범시킨 기구로, 2020년 러시아가 참관국으로 합류했다. 사무국은 우리나라 산림청이 맡고 있다.

협의체는 매년 포럼과 운영위원회를 열며, 2019~2022년에는 3개국이 공동 재원을 마련해 몽골 자민우드 지역에 나무벨트(2km)와 방풍림(5ha), 양묘장(1ha)을 조성하는 녹화사업을 추진했다. 또 유엔사막화방지협약의 ‘세계토지전망(Global Land Outlook)’ 동북아 보고서를 공동 발간하는 등 협력을 이어왔다.

남송희 산림청 국제산림협력관은 “사막화와 토지 황폐화가 산림뿐 아니라 자연, 동물,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은 심각하다”며 “앞으로도 초국경적 협력을 통해 공동 연구와 시범사업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