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양행, 미호강서 생물다양성 회복 나선다

유한양행이 충북 청주 오창공장 인근 미호강 세물머리 지역에서 추진 중인 생물다양성 증진 활동의 성과를 공개했다. 멸종위기종이 서식하는 중요한 생태 지역을 기업 차원에서 장기 보전하겠다는 구상이다.
유한양행은 2024년 6월부터 2025년 1월까지 사회적협동조합 ‘한강’과 함께 생태 모니터링을 진행해 ‘미호강 생태모니터링 보고서’를 발간했다.
조사 결과, 총 6개 생물군에서 183종이 확인됐으며, 멸종위기종인 수달과 흰꼬리수리 등 11종이 포함됐다. 이는 미호강 일대가 여전히 생태적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미호강은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종인 미호종개가 처음 발견된 곳으로, 수생 생태계의 보고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산업단지 개발, 축산업, 외래종 확산, 반복적인 침수로 인해 생태환경 훼손 우려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에 유한양행은 서식지 복원, 생태교란종 관리, 강숲 조성 등 본격적인 생태계 보전 활동에 착수했다. 2024년 한 해 동안에는 대학생, 시민단체, 임직원과 가족 등 약 90명이 참여한 시민참여형 프로그램 7회를 운영해 생물다양성 교육, 환경정비, 외래종 제거 등을 진행했다.
기후변화로 불규칙한 폭우가 잦아지면서 곤충 밀도와 목본식물 다양성이 낮아진 점을 고려해, 올해는 밀원식물 식재와 외래종 제거를 시급 과제로 삼고 있다. 회사는 계절별 모니터링을 통해 활동 성과를 데이터 기반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유한양행은 2027년까지 모니터링과 서식지 관리 범위를 확대하고, 지자체와 협력해 2028년에는 미호강 일대를 ‘자연공존지역’으로 지정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회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지역 주민과 함께 미호강 생태계 회복에 꾸준히 나설 것”이라며 장기 계획을 강조했다.
뉴스레터를 구독하세요
지금 뉴스레터를 구독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