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 명 중 여섯 “2035년 온실가스 60% 감축해야”

2035년까지 한국이 국제사회에 약속할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놓고 논의가 한창인 가운데, 국민 대다수가 국제 권고 수준인 2019년 대비 60% 감축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에너지 정책 전문 연구기관인 기후솔루션은 여론조사기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전국 주요 지역 성인 2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17일 공개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61.7%가 2035년까지 60% 감축안에 동의했다. ‘매우 동의’는 17.2%, ‘동의하는 편’은 44.6%였다. ‘보통’이라고 답한 비율까지 합치면 응답자의 89.8%가 사실상 반대하지 않았다. 반면 ‘동의하지 않는 편’은 8.2%,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는 2.1%에 그쳤다.
‘폭염·홍수 심각…지금 적극 대응 필요’
60% 감축안에 동의한 이유로는 ‘폭염·홍수·산불 등 기후재난이 심각해 적극 대응이 필요하다’(50.7%)가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미래 세대를 위해 현 세대가 책임져야 한다’(42.6%), ‘대응이 늦어질수록 사회적 비용과 피해가 커진다’(40.0%)가 뒤를 이었다.
한국은 파리기후협약에 따라 205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 ‘0’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올해 안에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유엔에 제출해야 한다. 환경부는 지난 8일 4가지 안을 제시했다. 산업계가 요구한 40%대 후반 수준부터, 선형 감축 기준 53%, 국제사회 권고 수준인 61%, 시민사회가 제안한 67%까지다.
‘정부 탄소중립 정책 지지한다’ 70%
이번 조사에서는 정부 정책에 대한 지지도도 함께 물었다. 이재명 정부의 기후위기 대응 및 탄소중립 정책에 대해 응답자의 69.4%가 지지한다고 답했다. ‘지지하지 않는다’는 16.6%, ‘잘 모르겠다’는 14.1%였다.
그러나 정부의 기후 대응 의지에 대한 평가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응답자의 45.3%만이 ‘의지가 높다’(‘높다’ 13.1%+‘높은 편이다’ 32.2%)고 답했다. 정책 지지도(69%)에 비해 실제 의지에 대한 평가는 20%포인트 이상 낮아, 국민들이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행동을 기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기후변화, 이미 건강에 영향’
기후변화를 체감하고 있다는 응답은 89.2%에 달했다. ‘확실히 체감한다’(33.3%), ‘대체로 체감한다’(55.9%)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기후변화가 건강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응답도 높았다. 80.7%가 ‘영향받고 있다’(11점 척도 7~10점 응답 기준)고 답했으며, 경제(77.9%), 주거지역(70.8%) 역시 이미 영향을 받고 있다는 응답이 많았다.
“정부, 61% 이상 목표 세워야”
기후솔루션은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국민 다수가 60% 이상의 감축 목표를 지지한다는 점이 분명히 드러났다”며 “정부는 4개 안 중 최소 61% 이상을 선택해 기후위기 대응 의지를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는 8월 18일부터 2주 동안 서울, 경기, 부산, 광주, 제주 등 주요 지역 성인 2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방식으로 진행됐다. 표본은 지역·성·연령별 비례할당으로 구성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구간에서 ±2.18%포인트다.
뉴스레터를 구독하세요
지금 뉴스레터를 구독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