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og in
  • 구독하기
지구를 살리는 뉴스, 더지구가 기후위기의 진실을 알려드립니다

송도 워터프런트서 흰발농게 6천마리 추가 발견

오두환 기자
오두환 기자
- [object Promise]분 걸림 -
흰발농게
[인천환경운동연합]

인천 송도국제도시 워터프런트 개발 사업이 멸종위기종 흰발농게 서식 실태를 둘러싼 논란에 다시 휘말렸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지난 3일부터 9일까지 송도 아암유수지 일대에서 포획 작업을 벌여 흰발농게 6천73마리를 확인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는 지난 4월 1·2차 조사에서 추산된 개체 수(800마리, 1천100마리)를 크게 웃도는 규모다.

당초 경제청은 워터프런트 1-2단계 사업(총사업비 2천522억 원)의 차질 없는 추진을 위해 흰발농게 1천100마리를 포획·이주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환경단체들은 “단 두 차례 조사만으로 개체 수를 산정해 무리하게 이주를 추진했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인천녹색연합은 당시 “한 달 만에 포획해 강제로 이주한다는 것은 흰발농게 학살 계획이나 다름없다”고 비판했다.

논란이 커지자 경제청은 지난 6월 번식기(6~8월)에 맞춰 3차 조사를 실시했고, 이때는 1만6천여 마리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이후 경제청은 최근 6천여 마리를 포획해 남동구 고잔 갯벌에 옮기고, 적응 상황을 모니터링 중이라고 밝혔다. 다음 달 한 차례 추가 포획·이주를 진행한 뒤 한강유역환경청에 결과를 보고할 예정이다.

흰발농게는 서해안과 남해안 일부 갯벌에 드물게 서식하며, 수컷의 흰색 대형 집게발이 특징이다. 하지만 매립과 연안 개발로 서식지가 사라지면서 개체 수가 급감해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지정됐다.

환경단체들은 이번 대량 발견이 서식 실태 조사의 필요성을 다시 확인시켜줬다고 본다. “흰발농게는 단순히 옮긴다고 생존이 보장되지 않는다. 원서식지 보전 대책 없이 이주만 반복하는 것은 생태계 파괴를 가릴 수 없다”는 것이다.

개발과 보전의 갈림길에서 흰발농게의 운명이 어떤 선택을 받을지가 송도 워터프런트 사업의 향방을 가를 중요한 시험대가 되고 있다.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생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