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og in
  • 구독하기
지구를 살리는 뉴스, 더지구가 기후위기의 진실을 알려드립니다

Blog

무료 “불편한 비판 잠재우려 하나”…산림청 ‘혁신위원회’에 쏟아지는 의구심
환경

“불편한 비판 잠재우려 하나”…산림청 ‘혁신위원회’에 쏟아지는 의구심

산림청은 지난 19일 서울 글래드호텔에서 '산림정책 혁신위원회'를 출범시켰다.[산림청]산림청이 대형 산불 참사 이후 산림정책 전환을 모색하겠다며 ‘산림정책 혁신위원회’를 출범시켰지만, 시민사회는 “보여주기식”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산림청은 지난 19일 시민사회·학계·전문가 26명으로 위원회를 구성해 산림 분야 현안을 논의하고 중장기 혁신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환경단체들은 “비판을 봉합하려는 장치일

by오두환 기자
무료 “숲은 땔감이 아니다”…시민단체, 정부 바이오매스 확대안 철회 촉구
환경

“숲은 땔감이 아니다”…시민단체, 정부 바이오매스 확대안 철회 촉구

숲[픽사베이]정부가 바이오매스 발전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제도 개편을 추진하자 시민사회가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환경·기후단체들은 “기후위기 대응이라는 이름으로 산림을 태우는 것은 시대착오적”이라며 즉각 중단을 요구했다. 가로수시민연대, 그린피스 서울사무소, 서울환경연합 등 15개 단체는 24일 공동 성명을 내고 “바이오매스 확대는 기후위기와 산림파괴를 가속화하는 ‘가짜 재생에너지’

by오두환 기자
무료 해양환경공단-수협은행, 해양플라스틱 저감 기금 전달
에코라이프

해양환경공단-수협은행, 해양플라스틱 저감 기금 전달

해양환경공단(이사장 강용석)과 수협은행이 해양플라스틱 저감과 바다 보전을 위한 공동 행보를 이어간다. 공단은 지난 23일 서울 송파구 본사에서 수협은행과 함께 **‘해양환경 보전 기금 전달식’**을 열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2020년 체결된 ‘해양플라스틱 저감을 위한 기금 협약’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수협은행은 친환경 금융상품인 ‘Sh 해양플라스틱 zero 예·적금’ 판매금액의

by오두환 기자
무료 국가 주도 첫 해양생물 종복원센터 건립, 영덕에서 착공
정책

국가 주도 첫 해양생물 종복원센터 건립, 영덕에서 착공

국립해양생물종복원센터 조감도[해양수산부]해양수산부가 해양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첫 국가 운영 종복원센터 건립에 나섰다. 해양수산부(장관 전재수)는 9월 25일 경북 영덕군 병곡면 영리해수욕장 인근에서 ‘국립해양생물종복원센터’ 착공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종복원센터는 해양생물의 구조·치료, 인공증식, 복원을 전담하는 국가 거점 기관으로, 2028년 상반기 개관을 목표로 한다. 그동안 해양동물 구조와 치료는 주로 민간 수족관이

by오두환 기자
무료 환경부, 사용 후 배터리 유통 지원…거점수거센터에서 성능·보관·매각까지
정책

환경부, 사용 후 배터리 유통 지원…거점수거센터에서 성능·보관·매각까지

미래폐자원 거점수거센터 위치 및 운영 현황[환경부]환경부가 사용 후 전기차 배터리의 자원화 기반 마련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환경부는 23일 경기도 시흥시 수도권 미래폐자원 거점수거센터에서 한국환경공단, 한국자동차해체재활용업협회와 함께 ‘비반납 대상 사용 후 배터리 유통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배터리, 왜 방치되나현재 전기차 배터리는 구입 시점에 따라 처리 절차가 달라진다.

by오두환 기자
무료 우리 동네 자연을 지키는 깃대종
에코스쿨

우리 동네 자연을 지키는 깃대종

지리산 깃대종 반달가슴곰[환경부]여러분, 깃대종이라는 말을 들어본 적 있나요? 깃대종은 국립공원마다 그곳을 대표하는 특별한 동식물을 말해요. ‘깃발을 세운다’는 말처럼, 그 지역의 자연을 알리고 지켜야 할 상징 같은 존재랍니다. 주왕산의 깃대종, 둥근잎꿩의비름과 솔부엉이경북 청송에 있는 주왕산국립공원에는 두 가지 깃대종이 있어요. 첫째는 가을에 분홍빛 꽃을 피우는 둥근잎꿩의비름이에요. 올해도 9월이 되자

by오두환 기자
무료 광릉숲에서 신종 ‘광릉콩꼬투리버섯’ 발견...학계 보고
생태

광릉숲에서 신종 ‘광릉콩꼬투리버섯’ 발견...학계 보고

광릉숲에서 발견된 신종 ‘광릉콩꼬투리버섯’[국립수목원]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임영석)이 광릉숲에서 새로운 버섯을 발견해 학계에 신종으로 보고했다. 이름은 ‘광릉콩꼬투리버섯(Xylaria gwangneungensis)’. 국명이나 학명에 ‘광릉’이 붙은 버섯은 이번이 처음이다. 광릉숲은 조선 세조의 능역으로 지정된 이후 550여 년 동안 보존돼 온 우리나라 대표 천연림이다. 2010년에는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됐다. 이번 발견은 광릉숲이

by오두환 기자
무료 “기후위기, 마음까지 위협한다”…청년 75% “미래가 두렵다”
해외

“기후위기, 마음까지 위협한다”…청년 75% “미래가 두렵다”

BBC Earth의 ‘보이지 않는 기후변화의 영향’ 온라인 기사 캡처기후위기는 단지 폭염과 홍수, 산불 같은 눈에 보이는 재난으로만 다가오지 않는다. 기후변화가 인간의 정신건강에도 깊은 상처를 남기고 있다는 연구와 증언이 잇따르고 있다. BBC Earth가 최근 보도한 ‘보이지 않는 기후변화의 영향(The invisible impact of climate change)’에 따르면, 기후위기로 인한 불안·우울증·

by오두환 기자
무료 유럽은 끊은 LNG 지원…한국만 ‘시대착오적’ 기후정책자금 쓰인다
환경

유럽은 끊은 LNG 지원…한국만 ‘시대착오적’ 기후정책자금 쓰인다

한국수출입은행은 지난 2019년 Angelicoussis가 국내 조선사 앞으로 발주한 LNG선 2척의 수출거래를 지원하기 위해 219백만불의 여신을 지원했다.[한국수출입은행]정부가 '녹색 금융'으로 홍보해온 기후정책자금의 상당 부분이 사실상 화석연료 지원에 쓰이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신장식 의원실이 23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5대 공적금융기관이 승인한 기후정책자금 94조원 가운데 17조6천억원(약

by오두환 기자
무료 주왕산 깃대종 둥근잎꿩의비름, 산불 딛고 다시 피다
생태

주왕산 깃대종 둥근잎꿩의비름, 산불 딛고 다시 피다

둥근잎꿩의비름 개화 모습[주왕산국립공원사무소]국립공원공단 주왕산국립공원사무소(소장 안호경)는 주왕산의 깃대종인 둥근잎꿩의비름이 지난 17일부터 주왕계곡 일원에서 꽃을 피우기 시작했다고 23일 밝혔다. 본격적인 만개 시기는 이달 말경으로 예상된다. 깃대종은 한 국립공원의 생태적·지리적·문화적 특성을 대표하는 상징적인 야생생물을 뜻한다. 단순히 보호 대상이 아니라, 해당 지역의 생태계와 문화를 알리고 주민과 탐방객에게 친숙하게

by오두환 기자
무료 추석 연휴 맞아 ‘음식물쓰레기 쓱싹 줄이기’ 캠페인
정책

추석 연휴 맞아 ‘음식물쓰레기 쓱싹 줄이기’ 캠페인

호박전[픽사베이]환경부 산하 한국환경공단(이사장 임상준)이 추석 연휴 음식물쓰레기 감량을 위해 특별 행사를 마련했다. 공단은 오는 10월 1일부터 14일까지 2주간 ‘추석 명절 음식물 쓱싹(쓱 차리고 싹 비우는) 줄이기’ 챌린지를 진행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평소보다 음식물쓰레기가 급증하는 명절 연휴 기간을 앞두고 낭비 없는 음식 문화 정착을 유도하려는

by오두환 기자
무료 “재생에너지 전환 가로막는 걸림돌”…고리2호기 연장 반대 목소리 확산
환경

“재생에너지 전환 가로막는 걸림돌”…고리2호기 연장 반대 목소리 확산

원자력안전위원회의 고리2호기 수명연장 심사 상정을 앞두고 23일 시민단체들이 심사 중단과 원전 영구정지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기후위기비상행동, 종교환경회의, 탈핵시민행동]원자력안전위원회의 고리2호기 수명연장 심사 상정을 앞두고 시민사회가 2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심사 중단과 원전 영구정지를 촉구하며, 지난 일주일 동안 모은 시민 서명 5,348명을 이재명 대통령에게 전달했다.

by오두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