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10명 중 9명 “기후위기 심각”…정부 대응 촉구

경기도민 대부분이 기후위기를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하고 있으며, 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적극적 대응을 요구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경기도는 지난 8월 7일부터 11일까지 만 18세 이상 도민 200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89%가 기후위기를 “심각하다”고 답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가운데 절반을 넘는 56%는 “매우 심각하다”는 인식을 보였다.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 필요성에 대해서는 도민 90%가 공감했다. “매우 필요하다”고 답한 비율도 65%에 달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도민들의 위기의식과 정책적 요구 수준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도민들은 경기도가 추진해온 기후정책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응답자의 57%가 “잘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30%였다. 도는 기후위기를 단순한 환경 문제가 아니라 미래 경제 문제이자 성장 전략으로 보고 ‘기후경제’ 관점에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정책에 대한 지지율도 높았다. ▲기후행동 기회소득(80%) ▲경기 RE100(78%) ▲기후보험(74%) ▲기후펀드(72%) ▲기후위성(67%) 등 모든 정책이 70% 안팎의 공감대를 형성했다. 전국으로 확산되길 바라는 정책으로는 ‘경기 RE100’(26%)이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기후행동 기회소득(21%) ▲기후보험(14%) ▲기후펀드(12%) ▲기후위성(9%) 순이었다.

도민 절반(50%)은 경기도 기후정책이 중앙정부나 다른 지자체와 “차별성이 있다”고 답해 “차별성이 없다”(39%)는 응답을 웃돌았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최근 열린 청정대기 국제포럼에서 “경기도는 공공부문 RE100, 기후행동 기회소득, 기후보험 등 전국 최초의 기후정책을 추진해왔다”며 “앞으로도 기후위성, 기후펀드 등 경기도 선도정책의 경험과 데이터를 중앙정부와 국제사회와 공유하면서 세계의 기후행동을 이끌겠다”고 말했다.
차성수 경기도 기후환경에너지국장도 “도민들의 높은 위기의식과 정책적 요구를 확인했다”며 “경기도가 선제적으로 추진해온 기후위기 대응 정책들이 중앙정부 정책의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활용한 전화면접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2%포인트다.
뉴스레터를 구독하세요
지금 뉴스레터를 구독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