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og in
  • 구독하기
지구를 살리는 뉴스, 더지구가 기후위기의 진실을 알려드립니다

경기도, 전국 첫 ‘기후위성’ 띄운다… “지방정부도 우주에서 기후위기 대응”

오두환 기자
오두환 기자
- [object Promise]분 걸림 -
경기기후위성
[경기도]

경기도가 지방정부 최초로 기후 대응을 위한 인공위성을 우주에 띄운다. 위성은 온실가스 배출 감시부터 기후재난 모니터링까지, 하늘에서 기후정책을 뒷받침하는 ‘눈’이 될 전망이다.

경기도는 8일 “오는 11월 미국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우주군기지에서 ‘경기기후위성 1호기(GYEONGGISat-1)’를 발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발사 시점은 현재 미국 현지 기관과 최종 조율 중이다.

광학 관측 위성인 경기기후위성 1호기는 지구 저궤도(약 500km 상공)를 돌며 3년간 경기도 전역의 기후·환경 데이터를 정밀하게 수집한다. 지난해 8월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임기 후반기 핵심 과제로 기후위성 개발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뒤, 불과 1년여 만에 실제 발사 단계에 이르렀다.

경기도는 올해 초 위성 개발·운용 기관을 공모해 선정하고, 7월 위성 본체 개발을 완료했다. 이후 9월에는 탑재체 항공시험 등 발사 전 마지막 점검 절차를 마쳤다.

이번 프로젝트는 지방자치단체가 독자적으로 추진한 첫 기후위성 사업이다. 광학위성 1기와 온실가스 관측위성 2기로 구성된 ‘경기기후위성 프로젝트’는 향후 3단계로 확장된다. 위성은 ▲토지이용 현황 정밀 모니터링 ▲메탄 등 온실가스 배출원 추적 ▲홍수·산불·산사태 등 기후재난 피해 상황 감시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도는 위성 데이터로 ‘기후정책 고도화·규제 대응·산업육성·국제협력’ 등 네 가지 정책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우선, 위성이 수집한 데이터를 ‘경기기후플랫폼’과 연계해 ‘온실가스 관측 지도’를 제작할 계획이다. 산업단지 등 특정 지역의 메탄 누출이나 탈루 지점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어, 지자체별 온실가스 감축정책의 정밀도를 크게 높일 것으로 전망된다. 농업·축산업 부문의 기후변화 영향 분석과 재난 대응 체계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 데이터는 글로벌 탄소규제 강화에도 대응 수단이 된다.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시행에 따라, 도내 중소기업들이 자체 배출량을 실측하고 감축방안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는 또 위성 데이터를 민간에 개방해 기후테크(Climate Tech) 분야의 스타트업을 육성하고, 위성 산업 기반을 넓힌다는 구상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기후위성은 단순한 환경 관측 수단을 넘어, 기후산업 생태계의 핵심 인프라가 될 것”이라며 “우주산업과 기후정책이 만나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경기도는 향후 국내외 연구기관 및 정부 부처와 위성 데이터 공유·공동연구 체계를 구축해, 국제적 기후협력에도 나설 계획이다.

김동연 지사는 “지방정부가 스스로 기후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이번 프로젝트의 의미”라며 “우주에서부터 지속가능한 경기도를 설계하겠다”고 말했다.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