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해법은 자연 속에 있다”…제주형 정책, 국제무대 호평

제주특별자치도가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서 열리고 있는 ‘2025 세계자연보전총회(WCC, World Conservation Congress)’에서 제주형 친환경 정책을 공유하며 국제사회의 호응을 얻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총회는 9일부터 15일까지 열리며, 세계 170여 개국에서 1,400여 개 기관과 1만여 명의 환경 전문가, 정책 관계자가 참여했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이 주관하는 이 행사는 자연 보전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최대 규모의 국제회의로 평가받는다.
“제주, 기후위기 대응 지방정부 모델로 주목”
제주도는 이번 총회에서 탄소중립과 기후회복력 강화를 위한 정책 모델을 소개하고, 제주세션과 제주홍보관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지난 9일 열린 중앙무대 ‘제주세션’에서 진명기 제주도 행정부지사는 ‘자연 기반 기후회복력 해법’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그는 세미 맹그로브 숲 조성, 생태계서비스 지불제(ES Payment), 남방큰돌고래 생태법인 설립, 에너지 대전환 정책 등 제주의 대표적 친환경 사례를 공유했다.
참가자들은 제주의 실천적 모델에 높은 관심을 보이며 활발한 질의응답을 이어갔다.

IUCN “지방정부 중심의 기후정책, 제주는 모범적”
진 부지사는 스튜어트 매기니스(IUCN 사무차장)와 만나 다중국제보호지역의 기후위기 대응 및 제주 에너지 정책을 중심으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매기니스 사무차장은 “자연기반해법(Nature-based Solutions)을 통한 ‘네이처 포지티브(Nature Positive)’ 확산에 제주가 앞장서고 있다”며 “지방정부 주도의 기후정책을 추진하는 제주의 행보는 국제적으로 주목할 만하다”고 평가했다.
또한 세계지방정부연합(ICLEI)의 잉그리드 쿠지(Ingrid Coetzee) 생물다양성 이사와의 면담에서는, 다중국제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제주의 생물다양성 보전 관리 및 협력 체계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양측은 “기후위기 극복에는 중앙정부뿐 아니라 지방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수적”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제주의 경험, 세계와 나누는 글로벌 플랫폼 될 것”
제주도는 이번 WCC 참여를 계기로 국제 환경 네트워크와의 교류를 강화하고, 탄소중립 실현과 자연 보전 정책을 더욱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진명기 부지사는 “제주의 경험과 정책을 세계와 공유하며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국제 협력을 선도하는 지방정부의 역할을 보여줬다”며, “제주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주도하는 글로벌 모델로 자리매김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뉴스레터를 구독하세요
지금 뉴스레터를 구독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