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og in
  • 구독하기
지구를 살리는 뉴스, 더지구가 기후위기의 진실을 알려드립니다

DMZ에서 평화와 생태의 길을 묻다… ‘2025 DMZ OPEN 에코피스포럼’ 11월 개최

오두환 기자
오두환 기자
- [object Promise]분 걸림 -
‘2025 DMZ OPEN 에코피스포럼’ 포스터
[경기도]

경기도가 한반도의 평화와 생태적 미래를 논의하는 국제포럼 ‘2025 DMZ OPEN 에코피스포럼’을 11월 3일부터 5일까지 고양시 소노캄 고양에서 연다. 도는 10월 2일부터 공식 누리집을 통해 참가자를 사전 모집하고 있다.

‘DMZ OPEN 에코피스포럼’은 DMZ(비무장지대)의 생태·평화적 가치를 세계와 공유하고, 기후위기 시대 한반도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모색하는 국제 학술행사다. 올해 주제는 ‘DMZ에서 시작하는 미래 길 찾기’로, 포럼 3년차를 맞아 그간의 논의 성과를 정리하고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첫날(3일)에는 베스트셀러 『정의란 무엇인가』의 저자 마이클 샌델 하버드대 교수가 기조연설자로 나서며, 이어 DMZ OPEN 페스티벌 조직위원회 공동위원장인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와의 대담이 진행된다. 두 사람은 DMZ의 평화 정착, 생태 보존, 청년 세대의 역할을 주제로 국제적 담론을 나눌 예정이다.

같은 날 열리는 ‘OPEN 세션’은 기후·에너지, 인공지능(AI), 문화·예술 등 다양한 분야를 넘나드는 개방형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문화 부문 특별 강연도 예정돼 있다.

둘째 날(4일)은 ‘평화와 생태’를 주제로 심화 토론이 이어진다. ‘평화세션’에서는 ‘적대로부터 환대로: 한반도의 안정적 공존과 평화’를 대주제로 삼아 다문화 사회로 진입한 한국의 공존 방안과 남북 협력의 새로운 길을 모색한다.

‘생태세션’은 시민과 함께 그려온 2050년 한국의 미래상과 기후·생태 위기 대응을 논의하는 자리로 꾸려진다. 마지막에는 각 세션 좌장이 모여 논의 결과를 종합하는 ‘라운드테이블’이 진행된다.

마지막 날(5일)에는 유럽 통합 경험을 바탕으로 한 한반도 평화와 남북 교류 전략을 논의하는 국제 학술회의와 청년 중심의 국제 평화 세미나가 동시에 열린다.

특히 청년 세미나에서는 방송 ‘비정상회담’으로 알려진 다니엘 린데만이 사회를 맡아 국내외 청년들과 함께 평화와 공존의 의미를 토론한다. 세미나 후에는 ‘청년 한반도 평화 선언문’이 채택될 예정이다.

우병배 경기도 평화협력과장은 “DMZ OPEN 에코피스포럼은 단순한 학술회의를 넘어 DMZ의 가치를 전 세계와 공유하고, 평화와 생태 담론을 정책 실천으로 확장하는 자리”라며 “도민과 청년, 국제사회가 함께 평화와 공존의 미래 비전을 그려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사전 참가 신청은 공식 누리집(www.dmzepf.co.kr)에서 가능하다.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