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동물 보호소, 보호 아닌 ‘죽음의 수용소’ 됐다”...예산이 1마리당 9800원?

동물보호소에 있는 개
[픽사베이]

농식품부의 유기동물 보호 정책이 사실상 ‘죽음의 수용소’를 방치하고 있다는 지적이 국정감사에서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부산 사하을)은 14일 농림축산식품부 국정감사에서 “유기동물 보호의 최후 보루여야 할 동물보호센터가 동물의 생명을 지켜주기는커녕 사실상 방치와 죽음의 공간으로 전락했다”며 강하게 질타했다.

조 의원이 공개한 ‘2024년 반려동물 보호·복지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동물보호센터에 들어온 유기동물 10만6824마리 가운데 49,080마리(46%)가 죽은 것으로 조사됐다. 사망률은 3년 연속 상승 중이다.

특히 ‘자연사’ 비율이 27.5%로 안락사(18.5%)보다 훨씬 높아, 실질적으로는 관리 부실과 방치에 의한 ‘사고사’가 많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조 의원은 “보호소 사망률이 11%에 불과한 미국과 비교하면, 우리나라의 자연사율은 9배 이상 높다”며 “이런 상황을 외면하는 것은 국가의 직무유기”라고 비판했다.

문제의 근본에는 민간 위탁 중심의 운영 구조와 턱없이 부족한 예산이 있다는 게 조 의원의 지적이다.

전국 보호센터의 71.5%가 민간에 위탁돼 있으며, 서울·부산 등 7개 광역시에는 직영 보호센터가 단 한 곳도 없다.

올해 동물 구조·보호에 배정된 예산은 10억5천만원으로, 지난해 구조된 동물 수를 기준으로 하면 한 마리당 9,800원꼴에 불과하다.

조 의원은 “반려동물 1,500만 시대에 농식품부가 공공의 책무를 민간에 떠넘긴 결과 수많은 동물이 차가운 바닥에서 죽어가고 있다”고 지적하며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동물보호센터 운영체계 혁신안을 마련해 국회에 보고하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