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 물관리로 줄인 탄소, 이제 시장에서 사고판다

송미령 장관은 지난 6월 29일 전라북도 부안군 행안면에 위치한 논콩 전문생산단지를 방문해 재배현장 살펴봤다.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식품부가 농업분야에서 줄인 온실가스를 시장에서 사고팔 수 있는 길을 열었다. 논 물관리로 감축한 탄소량을 과학적으로 인증받아 ‘탄소크레딧’으로 거래할 수 있도록 제도를 만든 것이다.

농식품부는 26일 대한상공회의소, NH농협금융지주와 업무협약을 맺고 농업분야 탄소감축 실적을 시장에서 거래하는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농업이 단순히 정부 보조금에 의존하지 않고, 민간시장에서 환경 성과를 인정받아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길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지금까지 농업 분야는 2만5513헥타르에서 85만3천t의 이산화탄소를 줄였다. 하지만 감축 실적을 객관적으로 측정·검증하는 체계가 부족해 시장 거래로 이어지지 못했다. 그 결과, 기업들이 제대로 된 감축 노력 없이 ‘친환경’을 내세우는 그린워싱 논란도 이어져 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에 등록된 방법론인 ‘논 물관리’를 활용했다. 위성사진과 GPS 기반 사진, 계측기를 이용해 실제 감축 효과를 확인하고, 대한상의가 운영하는 전자탄소등록부 ‘센테로(Centero)’를 통해 거래할 수 있도록 했다.

김정욱 농식품부 농식품혁신정책관은 “농업인들의 감축 활동이 기업과 연결돼 시장에서 거래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진전”이라며 “기업들이 농업 탄소크레딧을 사는 출발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오는 2026년을 목표로 시범사업을 추진해 왔지만, 기후위기 대응과 농가 소득 안정에 필요하다고 판단해 조기 시행을 결정했다. 앞으로는 논 물관리 외에도 다양한 감축 프로그램으로 확대하고, 참여 기업도 늘려 농업 탄소시장을 키워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