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개발이 불러온 발리 홍수...개발 금지로 기후 대응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지난주 대규모 홍수로 최소 18명이 숨지자, 현지 당국이 새 호텔과 레스토랑 건설을 중단하기로 했다. 기후변화와 무분별한 개발이 빚어낸 참사라는 지적 속에, 발리의 ‘대규모 관광’ 모델에 근본적인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은 19일 보도에서 “발리 정부가 농업용 토지, 특히 쌀농사를 위한 논을 상업 개발로 전환하는 것을 막기 위해 규제를 도입한다”고 전했다 . 발리의 논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돼 있으며, 그동안 리조트·레스토랑·주택으로 대거 바뀌어왔다.
이번 홍수로 수천 채의 가옥과 수백 헥타르의 농경지가 침수되고 관광객도 발이 묶였다. 전문가들은 콘크리트 건물과 도로가 늘어나면서 빗물이 스며들 공간이 사라져 피해가 커졌다고 지적한다.
현지 환경단체 ‘WALHI’의 나이오미 알렉산더는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발리의 관광산업은 이미 환경적 한계를 초과했습니다. 대규모 관광은 자연재해의 영향을 더욱 심각하게 만드는 요인”이라고 말했다 .
발리 경제는 관광업에 절대적으로 의존한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관광이 멈췄을 때 지역 경제는 큰 타격을 받았다. 그럼에도 관광업은 여전히 발리 국내총생산(GDP)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새로운 공항과 대규모 리조트 단지를 추진해왔지만, 기후 재해가 반복되면서 지속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커지고 있다.
환경 운동가들은 이번 조치가 출발점일 뿐이라고 말한다. 홍수 피해를 줄이려면 토지 이용계획 전면 개편, 기반시설 기후 적응 투자, 기존 건축물의 환경 기준 강화 등이 함께 추진돼야 한다는 것이다.
지역 사회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관광업 의존으로 생계를 유지해온 주민들은 경제적 불안을 호소한다. 반면 일부 주민들은 “이번 기회에 발리의 삶과 환경을 되돌아봐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