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사막 공기서 물 뽑고 탄소 잡는 ‘기후의 스펀지’...MOF 개발자들 노벨화학상
노벨상 공식 홈페이지 내 노벨화학상 수상자 캡처2025년 노벨화학상이 기후위기 대응을 앞당길 ‘꿈의 물질’ 개발자들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과학원은 8일(현지시각) 올해 노벨화학상 수상자로 키타가와 스스무(74) 일본 교토대 교수, 리처드 롭손(88) 호주 멜버른대 교수, 오마르 야기(60)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교수를 선정했다. 이들은 기후 기술의 핵심 소재로 꼽히는 금속유기 골격체(MOF, Metal-Organic Framework)를 처음 개발하고 개념을 정립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노벨위원회는 “이들의 연구 덕분에 과학자들이 사막의 공기에서 물을 얻고, 오염물질을 걸러내며,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고 수소를 저장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고 평가했다. 기후기술의 핵심 ‘금속 스펀지’ MOF는 구리나 철 같은 금속 이온에 유기 분자(리간드)를 결합시켜 만든 3차원 다공성(구멍이 많은) 물질이다. 1g만으로도 축구장 하나를 덮을 만큼 표면적이 넓고, 미세한 구멍이 촘촘히 뚫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