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미국 첫 기후 난민 이주, 모델 아닌 경고의 사례
루이지애나 일루미네이터 홈페이지 캡처미국이 연방정부 자금으로 처음 추진한 ‘기후 이주’ 프로젝트가 3년 만에 후회와 경고의 사례로 남았다. 해수면 상승과 허리케인으로 집터를 잃은 원주민 공동체가 강제에 가까운 이주를 택했지만, 새 거주지는 열악한 주거 환경과 갈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미국 온라인 매체 루이지애나 일루미네이터(Louisiana Illuminator)는 26일자 기사 “수백만 명이 기후 이주에 직면한 가운데, 미국의 첫 시도는 경고와 후회로 이어졌다”에서 루이지애나 장 샤를 섬(Isle de Jean Charles) 원주민들의 사례를 집중 보도했다. 장 샤를 섬은 19세기부터 빌록시-치티마차-촉토(Biloxi-Chitimacha-Choctaw) 원주민의 터전이었지만, 수십 년간의 해안 침식과 폭풍,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으로 면적이 2만2천에이커에서 320에이커로 줄어들며 사실상 ‘가라앉는 섬’이 됐다. 2016년 미국 정부는 4,830만 달러(약 660억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