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고래 한 마리는 나무 1,500그루… 바다의 탄소저장고를 지켜야 한다
돌고래 AI 이미기후위기가 심화되면서 바다는 지구에서 가장 빠르게 변하고 있는 생태계 중 하나가 됐다. 해수 온도 상승, 해양 산성화, 미세플라스틱 오염 등으로 해양 생태계의 균형이 무너지고 있으며, 그 피해는 가장 상위 포식자인 해양포유류에게 직격탄이 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는 아직 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독립적인 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수산자원’으로 분류된 해양포유류, 법 사각지대에 놓이다 현재 국내법은 상괭이, 밍크고래, 점박이물범과 같은 해양포유류를 ‘수산자원’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 때문에 혼획(그물에 우연히 걸려 죽는 사고)으로 폐사한 고래가 신고만 되면 합법적으로 유통·판매될 수 있는 구조다. 실제로 최근 5년간 상괭이 폐사 원인의 절반 이상(56.6%)이 혼획 때문으로, 매년 1,000마리 이상의 해양포유류가 우리 바다에서 사라지고 있다. 밍크고래 역시 보호종으로 지정되지 않아 ‘법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고래는 바다의 탄소저장고… 블루카본의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