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 플라스틱사회 전환' 시민단체 "코카콜라, 재사용 병음료 늘려 달라"

유리병재사용시민연대가 탄소중립・탈 플라스틱 사회 전환을 위해 코카콜라에 재사용 병음료를 늘려 달라고 요구했다.

오두환 기자
오두환 기자
재사용 병음료 사용 촉구에 나선 유리병재사용시민연대 관계자들 [유리병재사용시민연대]

유리병재사용시민연대가 지난 17일 코카콜라음료를 자회사로 갖고있는 LG생활건강 본사 앞에서 재사용 음료병 적극 확대를 위한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기자회견장에는 두레생협, 서울환경연합, 알맹상점,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 자원순환사회로가는길, 정치하는엄마들, 한살림, Reloop 등의 단체 관계자가 참석했다.

코카콜라 음료병은 현재 빈용기 보증금제를 통해 재사용 되고 있으나 대부분이 캔과 페트로 전환되어 사라지는 추세다.

기자회견에 나선 홍수열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 소장은 “이제 소주는 유리병이라는 관념이 크게 흔들리고 있다. 소주 회사들이 페트병 소주마케팅에 열을 올리고 있다. 마트에서 유리병 소주가 사라질 날이 얼마 남지 않았다”라며 “멸종위기종 재사용 유리병을 살리기 위한 조치를 지금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환경부는 일회용 페트병과 캔에 대한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 또한 재사용 의무 비율 제도를 도입하되 재사용 용기에 대해서는 인센티브를 크게 줘야 하며, 생산자는 음식점부터 재사용 유리병 사용을 늘릴 수 있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며 재사용 유리병이 확대되기 위한 제도 변화와 생산자의 역할을 강조했다.

박정음 서울환경연합 자원순환팀장도 “4월 23일부터는 캐나다 오타와에서는 국제 플라스틱 협약을 만들기 위한 네번째 회의가 진행된다. 이 회의에 참여하며 5차 회의의 개최국인 한국은 연간 생산 규모 세계 4위의 석유화학산업 생산국임에도 이번 협약에 있어 플라스틱 오염의 해결책으로 열분해와 같은 재활용 산업에만 집중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 “재활용은 플라스틱의 문제해결이 될 수 없다. 재활용은 우리에게 계속 소비해도 괜찮다는 프레임을 씌운다. 물에 잠기고 있다면 바로 물이 나오는 수도꼭지를 잠그듯이 바로 플라스틱 생산, 소비를 멈춰야 한다”며 “그 방법 중 하나로 국제 플라스틱 협약에서 논의 되고 있는 것이 바로 재사용이다”라고 말하며 플라스틱 오염 종식을 위한 재사용 중요성을 강조했다.

손세라 Reloop 연구원도 “독일에서 2019년 발효된 포장재법에서는 2022년까지 모든 음료 용기에 대해 70% 재사용 목표를 규정하고 있으며, 코카콜라는 독일에서 음료수병 재사용 인프라에 4천만 유로 이상, 한화로 560억 이상을 투자했다”며 말하며 세계적으로는 재사용을 확대해 나가는 추세임을 밝혔다.

이어 “어릴 때는 식당에 가서 음료수를 시키면, 콜라, 사이다, 환타가 재사용 유리병에 나오는 것이 당연한 일이었다. 북극곰이 콜라를 마시던 그 유명한 TV 광고에서 북극곰은 페트병이 아닌 유리병 콜라를 마셨다. 그런데 지금은 식당에서도, 유리병 음료수가 희귀해졌다.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유리병 콜라를 파는 곳을 수소문하는 글이 올라올 정도다”라고 말하며 재사용 유리병 콜라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재사용병 콜라를 늘려 달라는 퍼포먼스를 벌이고 있는 유리병재사용시민연대
재사용병 코카콜라를 늘려 달라는 유리병재사용시민연대의 퍼포먼스

국내에서 PET생수를 대체해 재사용 유리병 생수를 판매하고 있는 소우주의 최수환 대표도 발표에 나섰다.

최수환 대표는 “국내 먹는 물은 99.9%가 PET병에 담겨 유통된다. 최근 종이팩 제품이 나왔지만 둘의 공통점은 1회용이며, 결국 플라스틱 용기라는 점이다. 미세플라스틱, 환경호르몬으로 부터 안전 할 수 없다”며 안전성과 지속가능성을 위해 재사용 음료병 확대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어 “대한민국은 이미 매우 성공적인 순환경제 모델을 가지고 있다. 이 모델이 널리 널리 전파되어 나가길 소망한다. 페트 생수병이 재사용 유리병으로 대체되고, 이 병이 코카콜라와 같은 음료회사와 공유된다”고 말했다.

국내에서 식품병을 재사용하고 있는 한살림연합의 최혜영 환경활동회의 의장은 “생활협동조합인 한살림은 6가지 규격의 유리병을 재사용병으로 지정하여 70여 품목의 물품을 재사용병에 담아 판매하고 있다”며 병재사용 시스템은 충분히 실현 가능하고, 소비자들 또한 가치 소비 측면에서 만족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또 “유리병 재사용이 지속가능한 시스템으로 확장되기 위해서는 규모의 경제가 실현되어야 한다. 이미 선도적으로 재사용병을 쓰고 있는 기업들은 보다 적극적으로 재사용병 적용 품목을 확대하고 다른 기업들이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협력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유리병재사용시민연대는 국내에 이미 재사용 및 회수 체계가 갖춰져 있는 재사용 음료병을 적극적으로 확대할 것을 요구하며 재사용 유리병 확대 요구안과 시민들의 서명을 전달했다.